툴루스 호스틸리우스 (로마의 3대 왕, 기원전 약 673–642년 재위)

주요 정치적 특징

군사적 전환:

고대 작가들(리비,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은 그를 누마와 반대되는 인물로 묘사합니다. 누마가 종교와 평화를 강조한 반면, 툴루스는 무력 확장을 추진했습니다.

공격적 외교 정책:

알바 롱가, 피데나이, 베이이, 사비니족과의 전쟁. 전설적인 호라티우스와 쿠리아티우스 결투 사건이 여기에 속하며, 이는 로마와 알바 간의 의례적 분쟁 해결 방식이었습니다.

정복을 통한 국가 통합:

알바 롱가가 파괴된 후, 툴루스는 그 주민들을 로마로 이주시켜 인력과 패트리키 계급을 확장했다고 전해집니다.

당시 제도

왕권 (regnum):

여전히 군주제이며, 왕은 최고의 군사, 사법, 종교 권위를 가졌습니다.

원로원:

롬울루스 시절처럼 patres(원로) 자문 회의가 있었으며, 권위는 유지되었으나 왕의 군사적 역할이 그들의 영향력을 압도했습니다.

집회 (comitia curiata):

주로 의례적 기능; 시민들은 결정을 승인했지만 정책을 직접 결정하지는 못했습니다.

종교:

누마와 달리, 툴루스는 초기에는 종교를 소홀히 했습니다. 리비에 따르면, 이러한 불경은 전염병과 그의 몰락을 초래했고, 이후 그는 의식을 회복하려 했지만 신들(특히 주피터)이 벌을 내렸습니다.

도시 관리 및 사회 질서

도시 통합:

알바 롱가 주민이 합쳐지면서 로마는 사회적·물리적으로 확장되었고, 케일리안 언덕을 정착시켰습니다.

사회 군사화:

시민의 의무가 점점 더 군사적 책임과 연계되며, 시민의 전사적 역할이 강화되었습니다.

권리와 계층 (롬울루스로부터의 연속성):

패트리키(원로 계층):
정치와 원로원에서 지배적 위치를 유지했습니다.

평민:
알바 흡수 후 수가 증가했으나 권리는 제한적이었고, 정치적 영향력은 여전히 미미했습니다.

클라이언트:
확대된 계층으로, 보호와 대리권을 위해 패트리키 후원자에게 의존했습니다.

민주주의 없음:
권력은 여전히 군주제와 패트리키 엘리트에 집중되었습니다. 집회는 기능했지만 실제 입법 권한은 없었습니다.

롬울루스 및 누마와의 비교

롬울루스: 제도 설립, 원로원 조직, 패트리키/클라이언트 규정. 전사-왕 모델.
누마: 종교적 평화주의자; 사제직, 문화 질서 제정, 의식 규제.
툴루스: 롬울루스의 군사주의로 회귀, 정복을 통해 로마 확장, 새로운 헌법적 개혁은 없음 — 그의 유산은 영토/도시적, 제도적이지 않음.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 개혁 및 주요 변화

군사 중심:

알바 롱가, 피데나이, 베이이, 사비니족에 대한 전쟁 조직.
전설적 결투 (호라티우스 vs 쿠리아티우스) 의례적 전쟁 제도로 기능.

인구 통합:

알바 롱가 파괴 후, 대부분의 주민(패트리키 + 평민)을 로마로 이주.
새로운 패트리키 가문이 원로원에 참여.
케일리안 언덕에 신규 정착민 정착.

제도적:

그에게 귀속되는 주요 새로운 시민 또는 종교 제도는 없음 (누마와 달리).
나중에 소홀히 된 의식을 회복하려 했으나 불경과 관련됨.

도시 개발:

새로운 인구 구역을 포함하여 도시 공간 확장.

당시 경제

농업: 주요 기반; 정복으로 새로운 토지와 인력 확보.
노동력 공급: 알바 롱가 인구 유입으로 노동력과 군사력 증가.
초기 통합 경제: 인구 합병으로 클라이언트-후원자 관계 생성, 패트리키 재산 강화.
거래 개혁이나 시장/경매 증거 없음: 후대 왕들(특히 오스티아 항구 건설한 안쿠스 마르키우스)과 달리, 툴루스 시기에는 군사 중심.

비교 표: 롬울루스 → 누마 → 툴루스
측면 롬울루스 누마 폼필리우스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주요 특징 전사-창건자 종교적 법률 제정자 전사-확장자
정치 제도 패트리스 원로원; 큐리아 집회; 왕권 중심 사제직(Pontifex Maximus, 베스탈 처녀, 플라미네스); 종교 규제 새로운 제도 없음; 알바 패트리키로 원로원 강화
종교 기본 숭배, 주피터 페트리우스, 점술 체계적 숭배, 사원, 달력, 의식 의식 소홀 → 나중에 회복 시도, 불경으로 간주됨
사회 구조 패트리키, 평민, 클라이언트 확립 종교적 합법화를 통한 계층 의무 강화 알바 가문 흡수로 패트리키 계층 확대
경제 자급농업, 가축, 공식 시장 없음 같은 농업 기반, 안정적/의례적 경제 정복을 통한 확장, 토지 및 인력 증가
군사 이웃과의 전쟁; 정착지 방어 평화로운 통치, 전쟁 회피 공격적 원정; 알바 롱가 파괴
도시 개발 팔라티노 언덕 초기 정착, 포룸 계곡 배수 종교적 기념물, 성소 알바 롱가 이주민과 함께 케일리안 언덕 정착
민주주의? 아니오 — 군주제 + 원로원 우위 아니오 — 군주제지만 신성 권위가 권력 조정 아니오 — 군주제 + 원로원, 군사적 엘리트 강화

누마 폼필리우스, 로마의 두 번째 왕

로마의 두 번째 왕 누마 폼필리우스는 그의 개혁 조치들, 통치 방식, 그리고 로마 사회의 발전을 중심으로 소개됩니다. 더 알아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안쿠스 마르키우스, 로마의 네 번째 왕

안쿠스 마르키우스는 로마의 왕 중 한 명입니다. 그가 시행한 개혁과 그의 통치 기간 동안의 로마 사회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출판물을 참고하세요 (여기를 클릭).

로마 왕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로마의 다섯 번째 왕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 이 왕이 로마에 도입한 제도와 혁신, 그리고 이후 로마 발전에 끼친 영향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더 알아보려면 출판물을 확인하세요.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로마의 마지막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는 로마의 마지막 왕입니다. 이 출판물은 그의 통치 기간 동안의 로마 사회, 정치·사회 구조, 그리고 그가 시도했던 개혁들을 다룹니다.